맨위로가기

시몬 볼리바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몬 볼리바르는 1783년 스페인령 베네수엘라에서 태어난 라틴 아메리카의 독립운동가이다. 그는 자유주의 사상을 바탕으로 에스파냐의 식민 통치에 저항하며 베네수엘라 독립을 이끌었고, 대콜롬비아를 건설했다. 볼리바르는 강력한 중앙 집권 체제를 추구했으나, 이는 대콜롬비아의 붕괴와 말년의 고립으로 이어졌다. 그는 라틴 아메리카 여러 국가에서 해방자로 추앙받으며, 그의 이름은 볼리비아의 국명과 베네수엘라의 통화 단위 등에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세기 베네수엘라 사람 - 안토니오 호세 데 수크레
    안토니오 호세 데 수크레는 베네수엘라 출신으로 아메리카 독립 전쟁에서 활약했으며, 키토 해방과 아야쿠초 전투 승리를 이끌어 스페인령 남아메리카 독립에 기여했고, 볼리비아 초대 대통령을 역임했으나 암살당했다.
  • 호세 데 산마르틴 - 마이푸 전투
    마이푸 전투는 1818년 4월 5일 칠레 독립 전쟁의 결정적인 전투로, 호세 데 산마르틴 장군이 이끄는 칠레-아르헨티나 연합군이 마리아노 오소리오 장군이 지휘하는 스페인 왕당군을 격파하여 칠레 독립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으며, 이후 남아메리카 태평양 연안의 스페인군 진지를 공격하는 작전으로 이어져 칠레에서 매년 기념된다.
  • 베네수엘라 독립 전쟁 관련자 - 안토니오 호세 데 수크레
    안토니오 호세 데 수크레는 베네수엘라 출신으로 아메리카 독립 전쟁에서 활약했으며, 키토 해방과 아야쿠초 전투 승리를 이끌어 스페인령 남아메리카 독립에 기여했고, 볼리비아 초대 대통령을 역임했으나 암살당했다.
시몬 볼리바르 - [인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사후 초상화, 1922년
이름시몬 볼리바르
원어 이름Simón José Antonio de la Santísima Trinidad Bolívar Palacios y Blanco
출생일1783년 7월 24일
출생지카라카스, 베네수엘라 총독령, 스페인 제국
사망일1830년 12월 17일
사망지산타마르타, 그란 콜롬비아 (현재 콜롬비아)
안장 장소베네수엘라 국립 판테온
국적스페인 (1810년까지)
베네수엘라 (1813년–1819년)
콜롬비아 (1819년부터)
배우자마리아 테레사 로드리게스 델 토로 이 알라이사 (1802년 결혼, 1803년 사망)
파트너마누엘라 사엔스
잉크로 된 필기 서명
서명
로마자 표기Simon Bolivar
정치 경력
제1대 콜롬비아 대통령재임 시작: 1819년 2월 16일
재임 종료: 1830년 4월 27일
전임: 에스타니슬라오 베르가라 이 산스 데 산타마리아
후임: 도밍고 카이세도
제4대 페루 대통령재임 시작: 1824년 2월 10일
재임 종료: 1827년 1월 27일
전임: 호세 베르나르도 데 타글레
후임: 호세 데 라 마르
제1대 볼리비아 대통령재임 시작: 1825년 8월 6일
재임 종료: 1825년 12월 29일
전임: '직위 신설'
후임: 안토니오 호세 데 수크레
베네수엘라 제2 공화국 대통령재임 시작: 1813년 8월 7일
재임 종료: 1814년 7월 16일
베네수엘라 제3 공화국 대통령재임 시작: 1817년 10월
재임 종료: 1819년 12월 17일
기타 정보
종교로마 가톨릭교회

2. 어린 시절과 교육

시몬 볼리바르는 1783년 베네수엘라 카라카스의 부유한 크리오요 가문에서 태어났다.[15] 어린 시절 부모를 여의고 친척들의 보살핌을 받았다.[16] 여러 가정교사에게 교육을 받았는데, 그 중 시몬 로드리게스는 장 자크 루소와 몽테스키외의 사상을 가르치며 자유주의 사상을 심어주었다. 당시 남아메리카 식민지에서는 크리오요(스페인 식민지에서 태어난 백인)를 비롯한 여러 인종들이 에스파냐의 식민 통치에 불만을 품고 있었고, 특히 크리오요들은 경제력과 교육 수준은 높았지만 차별받는 것에 불만을 가졌다. 로드리게스는 에스파냐로부터 해방되어야 한다는 투쟁 의식을 가진 젊은 크리오요 중 한 명이었기에, 볼리바르는 자연스럽게 자유주의 사상을 접하게 되었다.

로드리게스가 독립 투쟁에 가담했다가 적발되어 유럽으로 망명하면서, 볼리바르는 누나의 소개로 안드레스 베요에게 에스파냐어와 웅변술 등을 배웠다. 14세에 사관학교에 입학했다.[16] 이후 베요는 칠레에 국립대학교를 설립하여 남아메리카 교육 발전에 공헌하였다.

2. 1. 성장 배경

시몬 볼리바르는 1783년 스페인령 베네수엘라의 수도인 카라카스에서 부유한 볼리바르 가문(Bolívar family)에서 태어났다. 볼리바르 가문은 바스크 출신의 에스파냐계 가문으로 베네수엘라에서 상당한 부와 명성을 누렸다.[15]

어머니는 건강이 좋지 않았고, 아버지마저 결핵으로 사망하면서 시몬은 흑인 여종인 이폴리타의 보살핌을 받으며 자랐다. 이러한 성장 환경은 훗날 볼리바르가 노예 제도에 대해 비판적인 사고를 갖고 노예제 폐지에 적극적으로 나서게 된 배경이 되었다.[16] 1792년 어머니가 사망한 뒤, 볼리바르는 친척들의 보살핌을 받았으나, 엄격한 성격의 외삼촌과의 갈등으로 정서적 불안을 겪으며 반항적인 유년 시절을 보냈다.

어린 시절 볼리바르는 여러 가정교사에게 교육을 받았는데, 그 중 Simón Rodríguez는 볼리바르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1799년, 볼리바르는 더 나은 교육을 받기 위해 스페인 마드리드로 유학을 떠났다.

1800년 볼리바르의 흉상

2. 2. 유럽 유학과 결혼

1799년부터 1802년까지 멕시코유럽 (에스파냐와 프랑스)을 여행했다. 멕시코 여행은 같은 크리오요들과의 만남을 통해 독립에 대한 열망을 갖게 하였으며, 유럽 여행은 남아메리카에서만 살던 청년 볼리바르에게 교양과 자유주의 사상을 심어주었다. 특히 에스파냐의 지식인 우스타리스 후작과의 만남은 그 자신이 "우스타리스는 나의 지식의 후견인이다."라고 말할 정도로 볼리바르를 풍부한 학식을 가진 지식인으로 성장시켰다.[29]

마드리드에서 살던 외삼촌 페드로의 딸 마리아 테레사(María Teresa Rodríguez del Toro y Alaysa)와 1802년 결혼하여 잠시 고향에서 살았으나, 1803년 아내가 황열병으로 죽은 후 다시 유럽으로 건너갔다.[29]
티토 살라스(Tito Salas)가 그린 볼리바르와 델 토로의 결혼식, 1921년
볼리바르와 델 토로는 각각 18세와 21세의 나이로 1802년 5월 26일 마드리드에서 결혼했다. 두 사람은 6월 15일 라 코루냐에서 ''산 일데폰소''호에 승선하여 라 과이라로 항해하여 7월 12일에 도착했다. 카라카스에 정착했지만, 델 토로는 병에 걸려 1803년 1월 22일 황열병으로 사망했다. 볼리바르는 델 토로의 죽음에 엄청난 충격을 받았고, 다시는 결혼하지 않겠다고 맹세했다.

3. 독립운동

1807년 베네수엘라로 귀국한 볼리바르는 프란시스코 데 미란다 등과 함께 독립운동에 투신했다. 1809년 프란시스코 데 미란다가 독립운동에 합류했고, 1811년 베네수엘라를 베네수엘라 공화국으로 독립시켰다. 그러나 왕당파의 반격으로 독립운동은 실패했고, 볼리바르는 네덜란드령 퀴라소로 망명했다.

1811년 11월부터 왕당파는 공화파를 압박했고, 1812년 3월 26일 카라카스 지진으로 공화국은 큰 피해를 입었다. 이 지진은 독립에 대한 신의 징벌로 여겨져 민중의 지지를 잃게 했다.

이후 볼리바르는 콜롬비아카르타헤나로 피신하여 카르타헤나 선언을 발표하고 독립전쟁을 이끌었다. 1814년 8월 4일 카라카스에 입성하여 '해방자' 칭호를 받았으나, 에스파냐군의 재침공으로 아이티 공화국으로 망명해야 했다.

라틴 아메리카 독립 연도


1819년 피스바산을 넘어 콜롬비아를 해방시키고 종신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며, 같은 해 12월 그란콜롬비아 건국을 승인받았다.[30][31]

이후 군대를 훈련시켜 1821년 11월 16일 카라보보 전투에서 승리하고 카라카스에 재입성했다. 호세 데 산 마르틴의 아르헨티나, 칠레, 페루 해방에 자극받아 에콰도르 해방을 추진했다.

과야킬 회동 (1822년)


1822년 7월 26일, 과야킬 회담에서 산 마르틴과 남미 통합 방안을 논의했으나,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했다.[32][33][34] 1824년 산 마르틴의 은퇴 후, 아야쿠초 전투(Battle of Ayacucho)에서 승리하여 페루를 독립시켰고,[35] 1825년 페루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1825년 8월, 수크레와 함께 알토 페루(볼리비아)를 해방시켰고,[35] 같은 해 8월 26일, 볼리비아가 독립하면서 그의 업적을 기리게 되었다.[35][37][38][39]

3. 1. 카르타헤나 선언과 망명

볼리바르는 네덜란드령 퀴라소를 거쳐 콜롬비아의 항구 도시 카르타헤나로 피신했다. അവിടെ서 그는 카르타헤나 선언을 발표하여 베네수엘라와 콜롬비아의 독립을 촉구했다.[30] 이 선언에서 볼리바르는 베네수엘라 공화국의 패배 원인을 분석하고, 누에바 그라나다 연합주가 베네수엘라 침공을 도와야 한다고 주장했다.

카르타헤나에서 누에바 그라나다 시민들은 볼리바르를 베네수엘라 해방 원정군 사령관으로 임명했다. 그는 산타페데보고타를 중심으로 한 쿤디나마르카 공화국의 지도자 안토니오 나리뇨의 지원을 받아 1813년 베네수엘라 공격을 지휘했다.

그러나 1814년, 반도 전쟁에서 승리하고 복위한 페르난도 7세가 이끄는 스페인군은 독립군 진압을 강화했다. 카라카스 시민들은 공화파를 지지했지만, 왕당파의 학살을 피해 온 난민들로 인해 도시 인구가 급증했고, 함부로 도시를 포기하면 시민들이 살해될 위험이 있었다. 결국 공화파 군대는 방어전에서 소모되어 분산 탈출했고, 볼리바르는 시민들을 이끌고 동쪽으로 탈출했다.

누에바 그라나다에서는 툰하를 수도로 하는 누에바 그라나다 연합주와 보고타의 쿤디나마르카 공화국이 대립하여 내전 상태였다. 볼리바르는 카르타헤나로 돌아와 누에바 그라나다 연합주의 군대를 이끌고 1814년 보고타를 공략하여 양 세력을 통합했다.[18] 그러나 산타 마르타의 스페인 군대를 포위하던 중 카르타헤나에서 왕당파 봉기가 일어나 패배했고, 1815년 영국령 자메이카로 망명했다.

자메이카에서 볼리바르는 '''자메이카 서한'''을 통해 영국의 지원을 요청했으나 거절당했다.[19] 이후 아이티로 건너가 알렉상드르 페티옹 대통령에게 군사 지원을 요청, 흑인 노예 해방을 조건으로 지원을 약속받았다.

3. 2. 베네수엘라 해방과 대콜롬비아 건설

1807년 베네수엘라로 돌아온 볼리바르는 프란시스코 데 미란다가 시작한 베네수엘라 해방 전쟁에 참여했다. 1808년 나폴레옹이 스페인을 침공하여 호세 1세를 왕위에 올리자, 볼리바르는 반(反) 왕정파(애국 연맹)에 가담했다. 1810년 4월 19일 카라카스에 자치 의회가 설치되자, 볼리바르는 혁명 지지를 위해 영국으로 파견되었으나, 재정 지원 외에는 큰 성과를 얻지 못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영국의 정치 제도를 배우고, 훗날 영국의 정치 체제가 세계 최고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1811년 베네수엘라로 귀국한 볼리바르는 헌법 회의에서 연설을 하고, 같은 해 7월 헌법 회의는 베네수엘라의 독립을 선포했다. 볼리바르는 베네수엘라 국군에 입대했으나, 장교의 배신과 카라카스 지진 등으로 1812년 7월 카라카스는 다시 스페인군에 점령되었다. 볼리바르는 미란다가 스페인과 휴전(사실상 항복)한 것에 격분하여 미란다를 스페인군에 넘기고, 카르타헤나로 망명했다.

보야카 전투


1812년 7월 31일 새벽, 볼리바르는 라 과이라를 탈출하여 카라카스로 향했고, 카사 레온 후작의 집에 숨어 체포를 피했다. 볼리바르와 카사 레온은 볼리바르 가족과 몬테베르데의 친구인 프란시스코 이투르베를 설득하여 볼리바르를 대신하여 중재하고 베네수엘라 탈출을 보장하도록 했다. 이투르베는 몬테베르데를 설득하여 미란다 체포에 대한 볼리바르의 역할을 인정하는 여권을 발급하게 했고, 8월 27일 그는 쿠라카오 섬으로 항해했다. 그와 그의 삼촌인 프란시스코 호세 리바스와 호세 펠릭스 리바스는 9월 1일에 도착했다. 10월 말, 망명자들은 카르타헤나 시로 서쪽으로 이동하여 왕당파에 대항하는 그란다 신연방에 군사 지도자로서의 봉사를 제공하기로 계획했다. 그들은 11월에 도착하여 마누엘 로드리게스 토리세스, 카르타헤나 자유주의 대통령에게 환영받았고, 그는 그의 지휘관인 피에르 라바튀에게 볼리바르에게 군사 지휘권을 주도록 지시했다. 미란다의 전 지지자였던 라바튀는 마지못해 이를 따랐고, 1812년 12월 1일 하부 마그달레나 강의 한 도시의 70명의 수비대를 볼리바르에게 맡겼다.

임무 수행 중 볼리바르는 카르타헤나 선언문을 발표하여 베네수엘라 공화국의 패배 원인과 그의 정치 프로그램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개괄적으로 설명했다. 특히 볼리바르는 그란다 신연방의 왕당파 침략을 막기 위해 베네수엘라 침공을 돕도록 서로 다른 그란다 신연방 공화국에 촉구했다. 볼리바르는 12월 21일에 마그달레나 강에 도착했고, 라바튀의 지시 없이는 행동하지 말라는 명령에도 불구하고, 마그달레나 원정을 시작하여 1813년 1월 8일까지 왕당파로부터 마그달레나 강의 통제권을 확보했다. 2월에 그는 베네수엘라에서 그란다 신연방으로의 왕당파의 진격을 저지하는 데 볼리바르의 지원을 요청한 공화당 대령 마누엘 델 카스티요 이 라다와 합류하여 쿠쿠타 전투에서 쿠쿠타 시를 왕당파로부터 점령했다.

1813년 볼리바르는 '놀라운 원정'을 통해 카라카스를 탈환하고 베네수엘라 제2공화국을 수립했다. 1813년 3월 초, 볼리바르는 쿠쿠타에 본부를 설치하고 호세 펠릭스 리바스를 베네수엘라 침공 허가를 요청하도록 파견했다. 그란다 신연방 명예 시민권과 준장 계급 승진을 받았지만, 델 카스티요의 침략 반대 때문에 허가는 5월 7일까지 나오지 않았다. 제한적인 침략이 허용되자 카스티요는 지휘권을 사임했고, 프란시스코 데 파울라 산탄데르가 그의 뒤를 이었다. 5월 14일, 볼리바르는 놀라운 원정을 시작했고, 사생결단 전쟁 포고령을 발표하여 그의 군대를 적극적으로 돕지 않는 남미의 모든 스페인 사람들의 죽음을 명령했다. 6개월 만에 볼리바르는 카라카스까지 진격했고, 8월 6일에 카라카스에 입성했으며, 10월에 몬테베르데를 베네수엘라에서 몰아냈다. 볼리바르는 10월 14일에 카라카스로 돌아와 시의회로부터 "해방자(El Libertador)"라는 칭호를 받았고, 이 칭호는 5월 23일 베네수엘라의 메리다 시민들이 처음으로 그에게 수여했다.

1816년 아이티의 지원을 받아 다시 베네수엘라에서 스페인과 전투를 벌였으나, 열세에 몰려 다시 아이티로 망명했다. 1817년 여름, 다시 베네수엘라에 상륙하여 안고스투라(현재의 시우다드 볼리바르)를 공략하고 임시 수도로 선포했다. 또한 야네로의 수령(카우디요) 호세 안토니오 파에스의 협력을 얻었다.

1819년 볼리바르는 카라카스를 우회하여 누에바 그라나다를 탈환하는 작전을 계획했다. 안데스 산맥을 넘어 누에바 그라나다로 진격하여 보야카 전투에서 승리하고[20] 보고타에 재입성했다.

1819년 볼리바르는 2,500명의 군인들을 이끌고 5일간의 피스바산 산행을 거쳐 콜롬비아로 건너갔다. 콜롬비아에 도착한 볼리바르의 부대는 5,000여 명의 영국군과 아일랜드군의 병력 지원과 주민들의 환영을 받으며 1819년 8월 7일 콜롬비아를 해방시켰다. 그해 종신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며, 12월 17일에 군사 지도자들과 의원들이 참석한 회의에서 그란콜롬비아가 승인되었다. 그란콜롬비아는 미국을 모델로 삼은 연방 공화국으로, 1807년부터 볼리바르가 구상하고 있던 국가 체제였다.

1819년 12월, 안고스투라 의회에서 누에바 그라나다 공화국의 대통령이자 군 최고 사령관이 된 볼리바르는 의회에 누에바 그라나다와 베네수엘라를 합병한 새로운 국가 건설을 요청했다. 곧 현재의 베네수엘라, 콜롬비아, 파나마, 에콰도르를 포함한 지역이 콜롬비아 공화국(대콜롬비아)으로 선포되었다.

1820년 볼리바르군과 스페인군 사이에 6개월 휴전 조약이 체결되었으나, 휴전 기간 종료 후 곧 전투가 발생했다. 베네수엘라에 침공한 볼리바르는 1821년 6월 카라보보 전투에서 승리하여 카라카스를 탈환했다. 볼리바르는 1821년 5월 개최된 대콜롬비아 헌법 초안 작성을 위한 쿠쿠타 의회에 소집되어 초대 콜롬비아 공화국 대통령으로 지명되었다. 국내가 안정되자, 내정은 부통령 프란시스코 데 파울라 산탄데르에게 맡기고, 볼리바르는 키토와 페루 지역 해방을 위해 떠났다.

3. 3. 에콰도르, 페루, 볼리비아 해방

1822년 피친차 전투에서 승리하여 에콰도르를 해방시켰다.[14] 호세 데 산 마르틴과의 과야킬 회담 이후, 페루 해방을 위한 군사 작전을 주도했다.[16] 1824년 아야쿠초 전투에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어 페루를 해방시켰고,[18] 1825년 수크레와 함께 알토 페루(볼리비아)를 해방시켰다.[19]

4. 대콜롬비아 붕괴와 말년

볼리바르는 남아메리카 통합을 위해 노력했으나, 지역 간 갈등과 정치적 분열은 심화되었다. 1826년 파나마 회의를 통해 아메리카 국가들의 연대를 모색했으나,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볼리바르는 독립 전쟁 당시의 경험을 바탕으로 중앙집권을 추구하고 가톨릭 교회를 중시하며 대통령 종신제를 바랐던 반면, 산탄데르는 지방 분권적인 연방제를 주장하며 신앙의 자유를 보장하고 대통령의 임기제와 중임 불가를 주장하여, 이념 대립으로 갈등은 더욱 심화되었다. 볼리바르 지지자들은 '추종파', 산탄데르 지지자들은 '자유파'로 불리며 당파 갈등은 깊어져 갔다.

1829년에는 페루 대통령이 된 아구스틴 가마라가 현재의 에콰도르 지역의 영유를 요구하며 페루군이 과야킬에 침입했다(그란 콜롬비아-페루 전쟁). 이는 수크레에 의해 격퇴되었지만, 볼리바르의 권위는 실추되었다. 게다가 볼리바르의 부하 장군 호세 마리아 코르도바가 반란을 일으켰으나 진압되었다. 1829년 가을에는 베네수엘라에서 호세 안토니오 파에스가 대콜롬비아로부터 분리 독립을 선언했다.

4. 1. 내분과 암살 위협

1826년 파나마에서 열린 연맹회의에서 볼리바르는 연방제 형식의 남미 통일 국가 건설을 호소했다.[40] 남미가 분열될 경우 미국 등에 의해 경제적, 정치적으로 종속될 위험이 크다는 판단이었다.[41] 그러나 각 지역 간 소통 문제, 정치적 이해관계 충돌, 지역 군벌들의 욕심, 미국과 영국의 분열 정책 등으로 인해 그의 구상은 무산되었다.[43]

볼리바르는 오랜 독립 투쟁에 지쳐 있었고 건강도 나빠져 가던 중, 정적들과 흑인 노예 해방 정책에 반감을 가진 지주들의 반발로 암살 미수 사건이 벌어졌다. 그러나 볼리바르는 사건 주모자를 국외 추방하고 관련자를 석방하는 등 비교적 관대한 처벌을 내렸다.[40]

1829년과 1830년 베네수엘라에콰도르가 각각 분리 독립하면서[44] 그란콜롬비아도 와해되었다.

그란콜롬비아는 페루와 볼리비아의 독립 전쟁 전비 부담으로 인해 국내 경제가 침체되었고, 베네수엘라, 누에바 그라나다(현재의 콜롬비아), 키토(현재의 에콰도르)의 3개 지역 간의 대립이 심화되었다. 특히 베네수엘라와 누에바 그라나다 간의 대립은 극으로 치달았다. 베네수엘라 지역의 실력자인 호세 안토니오 파에스와 의회의 대립은 1824년 이후 격화되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볼리바르가 파에스에게 유화적인 태도를 보이자, 누에바 그라나다를 기반으로 하는 산탄데르의 불만이 커졌다.

1828년 4월에는 오카냐에서 대콜롬비아 국민회의(헌법 제정 회의)를 소집했다. 볼리바르는 자파인 추종파의 다수파 공작을 벌였으나, 회의가 시작되자 자유파가 다수를 차지하게 되어 볼리바르의 계획은 실패했다. 이에 볼리바르는 8월에 산탄데르를 해임하고 헌법을 정지시켜 독재 권력을 장악했다. 그러나 다음 달에 해임된 산탄데르파에 의해 볼리바르 암살 계획이 세워지고, 볼리바르는 대통령궁에서 간신히 탈출하게 되었다.

4. 2. 사망과 유산

1830년 베네수엘라와 에콰도르가 그란콜롬비아에서 분리 독립하면서 볼리바르의 통합 구상은 좌절되었다.[44] 그는 오랜 독립 투쟁으로 지쳐 있었고, 건강도 악화된 상태였다. 설상가상으로 암살 미수 사건까지 벌어졌다.[40] 1830년 4월 27일, 볼리바르는 종신 대통령직과 후계자 지명권을 그란콜롬비아 의회에 반납하고 연금 제안도 거절했다.[40] 5월 8일, 대통령직에서 물러나 보고타를 떠날 때 사람들은 그에게 오물을 투척하기도 했다.[43]

이후 호아킨 미에르가 제공한 별장에서 지내던 볼리바르는 폐결핵을 앓고 있었는데, 동료 수크레의 암살 소식에[45] 건강이 더욱 악화되었다. 결국 1830년 12월 17일, 산 페드로 알레한드리노 농장에서 4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43] 사후 2년 뒤, 그란콜롬비아는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44]

볼리바르의 죽음, 베네수엘라 화가 안토니오 에레라 토로(Antonio Herrera Toro) 작, 1889년


볼리바르는 남아메리카 여러 국가에서 '해방자'로 추앙받고 있다. 그의 이름은 볼리비아의 국명과 베네수엘라의 통화 단위 등에 남아있다. 베네수엘라의 마이케티아 국제공항과 시우다드 볼리바르(Ciudad Bolívar) 시도 그의 이름을 딴 것이다. 카라카스의 볼리바르 광장과 보고타의 볼리바르 광장은 각각 수도의 중심 광장이다.

5. 사상과 평가

볼리바르는 계몽주의공화주의 사상에 영향을 받아 자유주의적 신념을 가졌다. 그는 토마스 홉스, 바뤼크 스피노자, 몽테스키외, 장 자크 루소 등의 사상가들에게 영향을 받았으며, 특히 루소의 제자인 시몬 로드리게스의 가르침이 그의 신념 형성에 큰 영향을 주었다.[1] 그는 친영파로서 라틴 아메리카 독립을 위해 영국의 지원을 추구했다.[2]

정치적으로 볼리바르는 라틴 아메리카의 자유민주주의 건설과 강력한 행정부를 가진 공화국 연합을 추구했다. 그는 정부가 지역과 주민의 필요에 맞춰야 한다고 믿었으며, 카르타헤나 선언에서 연방제는 스페인계 아메리카인들에게는 시기상조라고 주장했다. 대신 그는 무료 공교육을 통해 콜롬비아가 더 자유로운 민주주의를 준비하기를 원했다.[3] 그러나 1820년대 후반, 그는 점차 권위주의적으로 변모하여 "혁명에 헌신한 모든 사람들은 바다를 갈았다"고 선언하기도 했다.[4]

볼리바르는 춤과 글쓰기에 재능을 보였으며, 이상주의적인 면모를 지녔다. 그는 나폴레옹의 대관식에 참석한 후 군주제 도입을 단호히 거부하고 평생을 공화주의자로 살았다. 종교적으로는 가톨릭교회의 사회적 자본을 이용하고자 했으며, 교회의 특권을 보호하고 협조하는 길을 선택했다.[5]

그는 다음과 같은 어록들을 남겼다.


  • “에너지가 없는 곳에 공적은 빛나지 않고, 강인함이 없는 곳에 덕은 없으며, 용기가 없는 곳에 영광은 없다.”
  • “최대의 배신은 은혜를 잊는 것이다.”
  • “나는 국민에게 선택받은 지도자보다 지도자를 선택한 국민을 천 배나 더 신뢰한다.”
  • “나는 어려움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위대한 사업에 대한 열정으로 가득 차 있기 때문이다.”
  • “단결하라! 그러면 우리는 무적이 될 것이다!”
  • "미국은 자유의 이름으로 미주 대륙을 재앙으로 몰아넣으려 하는 것 같다." - Congreso de Panamáes에서 느낀 미국에 대한 불신으로 인해.
  • “이베로아메리카에는 독재 혹은 무정부 상태밖에 없는 것일까.” - 끝없는 지역주의와 내전을 생각하며.
  • “역사상 가장 큰 바보 세 명은 예수 그리스도, 돈키호테, 그리고 나다.”


5. 1. 비판적 시각

볼리바르는 막대한 유산을 남긴 라틴 아메리카의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는다.[12] 그러나 그의 전쟁 수행, 피아르 처형, 미란다 배신, 그리고 권위주의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13]

볼리바르는 공화주의자였지만, 대통령에게 강한 권한을 부여하고 임기는 종신제가 바람직하다고 생각했다. 또한 강력한 중앙 집권 체제를 원했다. 종교적으로는 가톨릭 교회의 특권을 보호하고 교회와 협조하는 길을 선택했다. 이러한 생각들은 독립 전쟁 중 각 지역의 반목으로 여러 차례 고배를 마셨던 경험과 신생 국가의 취약성을 인식했기 때문이었다. 실제로 1828년부터 1830년까지 대콜롬비아 말기의 볼리바르 통치는 독재였다.

하지만 이러한 정치 스타일은 당시 남미의 현실과 맞지 않았고, 각 지역의 분리 독립과 자유주의자들의 저항을 불러일으켜 그가 건국한 대콜롬비아는 12년 만에 붕괴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Ley Disponiendo Que El Ejecutivo Comunique A Bolívar La Abolición De La Constitución Vitalicia Y La Elección De Presidente De La República, 22 de Junio de 1827 http://www.congreso.[...] Congress of Peru 1827-06-22
[2] 뉴스 Se enciende el debate por el cargo de Simón Bolívar https://www.eldia.co[...] 2011-12-19
[3] 간행물 Decreto Supremo de 29 de diciembre de 1825 http://www.gacetaofi[...] Government of Bolivia 1825-12-19
[4] 뉴스 Chávez, Assailed on Many Fronts, Is Riveted by 19th-Century Idol https://www.washingt[...] 2008-02-23
[5] 웹사이트 Bolívar and Chávez, a Worthy Comparison http://cohaforum.org[...] Council on Hemispheric Affairs 2011-08-11
[6] 뉴스 Exhuman el cadáver de Simón Bolívar para investigar si fue envenenado con arsénico https://www.elmundo.[...] 2010-07-17
[7] 뉴스 Venezuela Unable to Determine Cause of Bolívar's Death https://www.csmonito[...] 2011-07-26
[8] 뉴스 Venezuela Hero Simón Bolívar 'Death Tests' Inconclusive https://www.bbc.com/[...] 2011-07-26
[9] 뉴스 Hugo Chávez Claims Simón Bolívar Was Murdered Not Backed by Science https://www.theguard[...] 2011-07-26
[10] 뉴스 Building a New History by Exhuming Bolívar https://www.nytimes.[...] 2010-08-03
[11] 뉴스 Why Venezuela's Chávez Dug Up Bolívar's Bones https://content.time[...] 2010-07-17
[12] 뉴스 Venezuela Honors Simón Bolívar's Lover Manuela Saenz https://www.bbc.co.u[...] BBC News 2010-07-05
[13] 웹사이트 International UNESCO/Simón Bolívar Prize https://www.unesco.o[...] UNESCO
[14] 웹사이트 스페인어의 일본어 표기 [[스페인어의 일본어 표기]]
[15] 기타
[16] 기타
[17] 서적 ラルース 図説 世界史人物百科 Ⅲ フランス革命ー世界大戦前夜 原書房 2005
[18] 서적 コロンビアを知るための60章 明石書店 2011-06-30
[19] 서적 ラルース 図説 世界史人物百科 Ⅲ フランス革命ー世界大戦前夜 原書房 2005
[20] 서적 コロンビアを知るための60章 明石書店 2011-06-30
[21] 서적 パナマを知るための55章 明石書店 2004
[22] 서적 ビオレンシアの政治社会史―若き国コロンビアの“悪魔払い” アジア経済研究所 2011
[23] 서적 世界の暦文化事典 丸善出版 2017-11-25
[24] 서적 ベネズエラ 溶解する民主主義、破綻する経済 中公選書 2021-01-10
[25] 서적 迷宮の将軍 新潮社 1991
[26] 웹사이트 시몬 볼리바르 https://terms.naver.[...]
[27] 웹사이트 볼리바르 [Bolivar] https://terms.naver.[...] 2007-06-25
[28] 서적 살아있는 역사 교과서 2 휴머니스트 2005
[29] 서적 시몬 볼리바르 인물세계사
[30] 서적 콜럼버스에서 룰라까지 개마고원 2003
[31] 웹사이트 시몬 볼리바르 https://terms.naver.[...] 인물세계사
[32] 서적 라틴아메리카역사 다이제스트100 가람기획 2008
[33] 서적 라틴아메리카역사 다이제스트100 가람기획 2008
[34] 서적 콜럼버스에서 룰라까지 개마고원 2003
[35] 서적 라틴아메리카역사 다이제스트100 가람기획 2008
[36] 서적 라틴아메리카역사 다이제스트100 가람기획 2008
[37] 백과사전 볼리바르 네이버 지식백과 2007-06-25
[38] 백과사전 볼리비아의 역사 두산백과 null # 날짜 정보 없음
[39] 서적 하룻밤에 읽는 세계사 중앙M&B 2001-05-10
[40] 백과사전 시몬 볼리바르 - 남미 독립투쟁의 기수 https://terms.naver.[...] 네이버 지식백과 null # 날짜 정보 없음
[41] 서적 라틴아메리카역사 다이제스트100 가람기획 2008
[42] 서적 라틴아메리카역사 다이제스트100 가람기획 2008
[43] 서적 라틴아메리카역사 다이제스트100 가람기획 2008
[44] 백과사전 콜롬비아의 역사 https://terms.naver.[...] 네이버 지식백과 2019-04
[45] 서적 콜럼버스에서 룰라까지 개마고원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